유용한 정보

주택 세금 알아보기.1가구 2주택 세금 부부명의 주택 세액공제 다주택 세금 주택 임대소득

퀸 & 킹 2020. 10. 30. 01:24

주택 세금 알아보기.1가구 2주택세금 부부명의 주택 

세액공제 다주택 세금 주택 임대소득 



조정대상지역이 아닌 곳에 짓는 아파트 분양권을 2년 넘게 보유하다가 

2021년 7월에 양도한다면 양도소득세를 얼마나 내야 할까.?
 2020년 8월 개정·시행된 소득세법에 따르면 분양권을 2021년 6월 1일 이후 

양도한다면 2년 이상 보유하더라도 조정대상지역 여부에 무관하게 60% 세율을 적용받으며,
분양권 보유 기간이 1년 미만이라면 70%의 세율을 적용받습니다. 
주택과 입주권도 보유기간 1년 미만에 70%, 1년 이상 2년 미만에 60%를 각각 적용한다. 
2021년 5월 31일까지는 보유기간에 따라 기본세율이나 40∼50%를 냅니다.

 


현재는 분양권이 양도세를 결정하는 주택 수로 산정되지 않지만 2021년 1월 이후 

취득하는 분양권은 주택 수에 포함됩니다. 
현재 주택과 분양권 1건씩을 갖고 있다면 1주택자이지만 1주택자가 내년 1월에 분양권을 취득하면 2주택자가 됩니다. 
이 경우 2021년 6월 이후 주택을 양도하면 양도세율이 현재보다 10%포인트 높아집니다.



★ 부부가 공동으로 1주택을 보유하면 종합부동산세 세액공제가 적용되나?
= 안 됩니다. 1주택자는 5년 이상 장기 보유하거나 60세 이상이면 최대 80% 종부세를 공제받을 수 있다. 장기보유에 따른 공제는 최대 50%, 고령자 공제는 최대 40%, 둘을 합친 공제는 최대 80%다. 하지만 부부가 공동으로 1주택을 보유하면 이런 혜택을 주지 않는다. 다만 최근 국회에서 이에 대한 문제가 제기돼 기획재정부가 제도 개선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

조정대상지역에 2주택을 보유하다가 올 9월 1일 주택 한 채가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된 경우

종부세 일반세율을 적용받나?
= 아니다. 조정대상지역 판정은 과세기준일인 6월 1일을 기준으로 적용하므로 이 경우 2올해는 조정대상지역 2주택자에 해당한다. 0.6~3.2%의 다주택자 종부세율이 적용된다. 다주택자 세율은 내년 1.2~6.0%로 인상된다.


★ 다주택자가 이사 가기 위해 취득하는 주택도 일시적 주택 소유로 인정해주나?
= 아니다. 2주택 이상을 보유한 다주택자는 이사 등 사유로 신규 주택을 취득하더라도 ‘일시적 2주택’에 해당하지 않는다. 신규 주택 취득은 중과세율이 적용된다.


★ 비조정대상지역에 1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상황에서 조정대상지역 아파트를 추가로 취득하는 경우 취득세율은?
= 기존 소유 주택의 소재지와 관계없이 조정대상지역에서 두 번째 주택을 추가 취득하면 8% 세율을 적용한다. 조정대상지역에서 3주택 이상 구입할 때는 세율이 12%다. 반면 두 번째 취득 주택이 비조정대상지역에 있으면 주택 가격에 따라 1~3%의 세율을 물린다. 비조정대상지역에서 세 번째 주택을 사면 8%, 네 번째 이상은 12%로 세율이 오른다.

 


1가구 1주택 양도세 장기보유특별공제는 어떻게 달라지나?
= 지금은 2년 이상 거주한 경우 최대 80% 공제율을 적용하고 있다. 내년 1월 1일 이후 양도분부터는 1년 공제율 8%가 ‘보유기간 4%+거주기간 4%’로 구분돼서 계산된다. 보유기간이 3년(12%)이고 거주기간이 2년(8%)이면 공제율이 20%다. 10년 이상 보유 시 지금은 거주기간 상관없이 공제율이 80%지만, 거주는 5~6년만 했다면 내년 이후엔 60%(보유 40%+거주 20%) 공제율이 적용된다.

★ 주택임대소득 과세 대상은?
= 월세 임대수입이 있는 2주택 이상 소유자와 보증금 등 합계액이 3억원을 초과하는 3주택 이상 소유자다. 1주택자도 기준시가 9억원 초과 주택에서 월세 수입이 나오면 과세 대상이다.


★ 주거용 오피스텔을 취득할 때도 취득세가 중과되나?
= 그렇다. 오피스텔을 취득할 당시에는 해당 물건이 주거용인지 상업용인지 확정되지 않으므로 건축물대장의 용도대로 건축물 취득세율(4%)이 적용된다.

★ 인상된 양도소득세율은 언제부터 적용하나?
= 내년 6월 1일 이후 양도분부터 적용한다. 지금은 주택·입주권을 팔 때 보유기간이 1년 미만이면 40%, 1년 이상이면 기본세율(6~42%)로 양도세를 물린다. 내년 6월 1일부터는 1년 미만은 70%, 1년 이상은 60%로 세율이 오른다.

★ 1주택과 1분양권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분양권을 주택 수에 포함해 양도세를 계산하나?
= 지금 보유하고 있는 분양권은 주택 수에 포함하지 않는다. 내년 1월 1일 이후 새로 취득하는 분양권부터 주택 수에 포함된다. 이 경우 2주택자로 보고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세율을 매긴다. 내년 6월 1일부터 적용되는 2주택자 중과세율은 ‘기본세율+20%포인트’다.

 



출처:네이버 지식백과 (한경 경제용어사전)

 

취득세 계산방법이 궁금하시다면 참고하세요.

 

부동산 취득세 계산방법 취득세율 취득세 카드납부가능.?

부동산 취득세 계산방법 취득세율 취득세 카드납부가능.? 부동산 취득세 세율과 취득세 계산하기에 대해 알아볼께요..! 취득세란..? 취득세란 토지,건축물,차량,기계장비,항공기,선박, 광업

influencer1004.tistory.com

 

 

 

 

 

 

인제군은 다음 달(11월)부터 올해 말까지 올해 여름 집중호우나 태풍 피해를 입은 주민 2백여 명에 대해 올해분 재산세를 감면해 준다도 합니다.
반파 이상의 피해를 본 주택 등 건축물과 매몰·유실된 농경지는 재산세를 전액 면제해 주고요,
올해분 재산세를 이미 낸 면제 대상자는 별도의 감면 신청 없이 군청에서 직접 세금을 환급해 준다고하니,인제에 사시는 분들 요번 태풍으로인한 걱정을 조금이라도 덜어 낼수 있으시겠네요..